Evidence Based Education
해독 가능한 텍스트
작년에 나는 해독 가능한 텍스트라는 주제에 대해 피어 리뷰를 거치지 않은 메타 분석을 썼고, 이것이 나의 가장 논란의 여지가 있는 글이었던 것 같다. 이 메타 분석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이점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독자는 이 교육적 개념이 매우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는 독서 과학 커뮤니티(나와 마찬가지로)와 동일시합니다. 그러나 이 메타 분석은 저의 첫 번째 분석 중 하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지난 1년 동안 제 기술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메타 분석을 다시 수행하여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이전에는 Cohen의 평균 계산으로 효과 크기를 계산했습니다. 반면에 이번에는 표본이 50 이상인 연구에는 Cohen's d를 사용하고 표본이 50 미만인 연구에는 Hedge's g를 사용했습니다. Education Source 데이터베이스, Sage Pub 데이터베이스 및 Google의 처음 여러 페이지를 검색했습니다. 저번에 사용했던 스터디도 리뷰해봤어요. 그 결과 2001년 J Hoffman 연구를 제거하고 상관 효과 크기를 사용하고 Wiley Blevins가 2000년에 수행한 준 실험 연구를 추가했습니다.
내가 이 문제를 마지막으로 보았을 때 내가 받은 비판 중 하나는 해독 가능한 텍스트의 효능을 제대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효과를 혼동하지 않도록 처리 그룹과 통제 그룹 모두에서 파닉스를 사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이 비판에 동의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전 분석에서 저자가 사용한 교육적 방법을 탐구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는 이 데이터를 제어하여 파닉스 프로그램에 디코딩 가능 항목을 추가할 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총 7개의 관련 연구를 찾을 수 있었고 그 중 2개는 비교할 수 있는 효과 크기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이것은 이 메타 분석을 일반적으로 매우 약하게 만듭니다. 동료 검토가 아닐 뿐만 아니라 소수의 연구에서만 그 효과를 끌어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이것이 (내가 아는 한) 이 주제에 대한 동료 검토 메타 분석이 없는 이유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와 관련된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내 분석의 약점인 동시에 읽기 과학의 일부인 해독 가능한 경우의 약점이기도 합니다. 나는 우리가 무언가를 과학이라고 부르기 위해서는 강력한 과학적 증거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IE는 동일한 효과를 보여주는 여러 고품질 연구입니다.
포함된 연구:
1990년 쥴:본 연구는 1학년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한 준실험 연구였다. 교육 방법론은 두 그룹 모두 파닉스를 사용했는지 알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상세하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에는 효과 크기를 그리기에 충분한 데이터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원저자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이 연구 결과의 해석은 읽기 교육을 시작하는 특정 접근 방식을 옹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펠튼 1993:이 연구는 난독증 유치원생 81명을 대상으로 한 RCT 연구였습니다. 상당히 긍정적인 결과를 얻은 유일한 연구였습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도 균형 잡힌 문해력 지도를 받은 대조군과 파닉스 지도를 한 실험군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나는 이 연구가 파닉스와 복호화의 효과를 교란하는 것이 아닌가 우려한다. 사용하는 독자의 유형에 관계없이 파닉스 유치원 그룹이 균형 잡힌 문해력 유치원 그룹보다 우수한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 연구는 Phonics 및 decodables를 BAU(Business as normal) 그룹 및 Balanced Literacy Group과 비교했습니다. BAU 그룹과 비교한 효과 크기는 .74였습니다. 균형 잡힌 문해력 그룹과 비교한 효과 크기는 .32였습니다. 이 연구를 제외하면 메타 분석의 평균 결과는 -.14가 되며, 이는 내가 발견한 평균 전체 긍정적 효과의 대부분이 이 한 연구에서만 나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는 이상치로 간주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블레빈스 2000:이 연구는 1학년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한 준실험 연구였다. 이 연구는 파닉스 그룹을 해독 가능한 독자가 있는 파닉스 그룹과 구체적으로 비교한 2개의 연구 중 하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나는 이것이 이 주제에 대한 가장 중요한 연구 중 하나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동료 심사를 거치지 않았고 RCT가 아니었기 때문에 결과가 과학적으로 덜 타당했습니다. 이 연구는 .16의 평균 효과 크기를 발견했는데, 이는 긍정적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입니다.
젠킨스 2004:이 연구는 95명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RCT 연구였습니다. 본 연구는 파닉스 그룹을 디코딩 가능한 파닉스 그룹과 구체적으로 비교한 두 번째 연구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피어 리뷰와 RCT였기 때문에 이 주제에 대한 가장 가치 있는 연구라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본 연구는 평균 0.03의 결과를 보여 매우 작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영향을 나타냅니다.
메스머 2005:이 연구는 1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한 준실험 연구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04였습니다. 그러나 연구에서는 그룹의 교육 방법을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결과를 바탕으로 외삽하기가 어렵습니다.
Price‑Mohr 2019:이 연구는 36명의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한 RCT 연구였습니다. 이 연구는 그룹의 교육 방법을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0.73의 매우 부정적인 평균 효과 크기를 발견했습니다. 교수법이 충분히 구체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 대해 외삽하기가 매우 어렵다. 더욱이 이 효과 크기는 분명히 이상치였습니다.
결과:
논의:
해독 가능한 텍스트에 대한 강력한 이론적/합리주의적 주장이 있습니다. 학생들이 해독할 수 있는 텍스트로 읽기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는 것은 완전히 이치에 맞습니다. 그러나 내가 아는 한, 이 글을 쓰는 시점에는 학생들이 학습하는 데 해독 가능한 텍스트가 필요하다는 과학적 증거가 거의 또는 전혀 존재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해독 가능한 텍스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거를 생성한 유일한 연구에는 파닉스를 사용하지 않는 대조군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파닉스가 학생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듯이 파닉스 교육의 효과와 해독 가능한 독자의 효과를 분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SOR 운동에는 음운 인식 교육, 파닉스 교육, 형태론 교육, 유창성 교육, 명시적 교육 및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강력한 과학적 증거가 있는 많은 교육학적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에 대한 나의 현재 이해로는 해독 가능한 독자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증거를 볼 수 없습니다. 해독 가능한 독자가 해롭다는 말은 아닙니다. 사실, 나는 증거가 이것을 시사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현재 증거에 대한 나의 최선의 해석은 해독 가능한 독자가 학생들에게 작지만 긍정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교육자들이 디코딩 가능 항목을 사용하고 싶어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나는 개인적으로 과학적 증거가 현재 추정된 효능을 확인하는 더 많은 연구가 있을 때까지는 사용을 의무화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나다니엘 핸스포드가 각본을 맡은 작품
최종 수정 2022,05,11.
참조:
Juel, C., & Diane Roper/Schneider. (1985). 기초독자가 1학년 읽기에 미치는 영향. 분기별 독서 연구, 20(2), 134–152.https://doi.org/10.2307/747751
Felton, RH (1993). 음운 처리 문제가 있는 아동의 해독 능력에 대한 수업의 효과. 학습 장애 저널, 26(9), 583–589.https://doi.org/10.1177/002221949302600904
Joseph R. Jenkins, Julia A. Peyton, Elizabeth A. Sanders & Patricia F. Vadasy (2004) 1학년 보충 교습에서 해독 가능한 텍스트 읽기의 효과, 읽기의 과학적 연구, 8:1, 53-85, DOI: 10.1207 /s1532799xssr0801_4
Heidi Anne E. Mesmer(2005) 텍스트 해독 가능성 및 1학년 독자, 분기별 읽기 및 쓰기, 21:1, 61-86, DOI:10.1080/10573560590523667
Price-Mohr, R., Price, C. 음소 해독 가능한 단어의 비율이 높거나 낮은 교육용 텍스트를 통해 읽기를 배우는 4-5세 아동의 비교. 유아 교육 J 48, 39–47 (2020). https://doi.org/10.1007/s10643-019-00970-4